Coréeoiserie_Véronique Vienne > NEWS

본문 바로가기

601 BISANG

Coréeoiserie_Véronique Vienne

[Design Observer] 2015, 12

본문

3ac6550a19ab6b46ab812b173ac2be68_1600835838_92.jpg
3ac6550a19ab6b46ab812b173ac2be68_1600835839_03.jpg

3ac6550a19ab6b46ab812b173ac2be68_1600835490_82.jpg
 



Coréeoiserie


Choe Yun-ui invented moveable typefaces in 1234, two centuries before Gutenberg, 

but it took another 781 years before the contribution of this obscure Korean civil minister received the tribute it deserves. 

The long overdue accolade came this fall in the form of a major show on Korean graphic design at the Musée des arts décoratifs in Paris. Better late than never.

The opening of the show coincided with the beginning of the France-Korea Year, a diplomatic commemoration that kicked off in October.

Korea Now! at the Arts décoratifs is one of many events planned for the occasion. 

Focusing on design but also on fashion, it brings to our attention the work of contemporary Korean graphic designersand the ancient typographic traditions associated with it.

Visitors wandering from the fashion section into this part of the show might have low expectations (Korean graphic design, whats that?), but they are in for a surprise. 

The beauty of the work on display is disconcerting. If you go, first turn off what you think you know about South Korean design. Think of the visit as a cultural reboot.


Who are these people?

The Korean students who, fifteen years ago, paid stiff tuitions to get their MFAs at Yale, SVA, Arts Center, Gerrit Rietveld Academie, or Central Saint Martins, have come of age. 

Theyve gone back to Korea and blended seamlessly back in with their contemporaries. 

Oddly enough, what theyve learned from their experiences in the West is not what to do, it seems, but what not to do. 

Their work is disorienting because it makes no reference to the graphic culture as we know it: no obvious Dada influence, no allusion to pop art, no identifiable visual references. 

Its totally its own thing.


Hangul, the Korean alphabet

As it turns out, the originality of Korean graphic design is not a fluke. Its roots can be traced back to its typographic past. 

At the same time Gutenberg was in Mainz, Germany, mass-producing the first printed books, 

about 6,000 miles away in Seoul, Korea, King Sejong the Great was overseeing the creation of hangul

a twenty-eight-letter phonetic alphabet designed to replace the 40,000 Chinese ideograms the language had been employing. 

As a simplified writing system, it could be taught to anyone in a matter of hours. Conceived originally as a tool to battle illiteracy, it is now the official script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

Recently, hangul has experienced a creative renaissance thanks to the work of graphic designer Ahn Sang-soo

who has redesigned the traditional characters to bring out their edgy and digital dimensions. 

A translator of Jan Tschicholds and Emil Ruders books in Korean, Ahn Sang-soo doesnt claim to be a Modernist, though. Always elegant, 

his work transcends the sacred rules of composition with minimalist aplomb.

 

Hanji, the Korean paper 

An emblematic figure, Ahn Sang-soo has inspired a generation of indie graphic designers, with Park Kum-jun one of the most prolific experimenters. 

Like the majority of designers selected by the curators of the Arts décoratifs show, Park Kum-jun is mainly working in print media, and, 

like most of them, he finds the quality of the paper he usesis as much part of the message as the text or the images.

Fascination with hanji, traditional handmade paper, is another Korean idiosyncrasy. 

Made of the inner bark of a native tree, the laminated sheets have a distinctive multi-directional grain that ensures that, 

no matter how precise the original artwork, you always get slightly unexpected results in print.

 

Sensory Design

Sheathed in corrugated cardboard, hybrid books designed by Park Kum-jun incorporates layers of semi-transparent, smooth yet brittle paper that crackles when you turn the pages.

In the next room, the posters of Sulki & Min feature dramatic high-gloss photographs that are partially obscured by waves of thick, dull-varnished fluorescent ink.

Next to them, silkscreened on lightweight paper, the posters of Hey Joe look like black velvety embroideries on thin, fragile muslin. Further down the hall, a digitally printed red-and-green composition by Kim Bo-huy vibrates off the page, 

its colors so hot they could induce a heat strokebefitting the posters message against global warming.

 

A sensory feast, the show is a reminder that what we see can engage more than our eyes. 

Korean designers believe that, through vision, printed matter stimulates other senses as wella neurological phenomenon called synesthesia.

To Parisians, their approach makes sense. What these savvy communicators are proposing is the graphic equivalent of Prousts madeleine.

 

Véronique Vienne has edited, art-directed, and written essays for numerous design publications in the USA and in Europe 

(House & Garden, Emigré, Communication Arts, Eye, Graphis, Aperture, Metropolis, Etapes, Print, and more).

Her latest book, 100 Ideas that Changed Graphic Design, co-authored with Steven Heller, has been translated in 10 languages.

 

 

 

한국적 특징

 

최윤의는 구텐베르크보다 200년 앞선 1234년에 이동식 서체를 발명했지만, 한국의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이 민간사절의 업적이 마땅히 받아야할 찬사를 받기까지는 781년이 걸렸다.

그 뒤늦은 찬사는 이번 가을 파리의 장식미술 박물관에서 한국 그래픽 디자인이라는 큰 쇼의 형태로 돌아왔다. 이 전시의 개막은 10월에 있었던 한·불 외교적 기념행사와 동시에 진행됐다.

 

장식미술 박물관에서 열리는 <한국의 오늘!>은 한-불 외교적 기념행사를 위해 계획된 많은 행사 중의 하나이다

디자인과 패션에 중점을 두어 현대 한국 그래픽 디자이너들의 작업과 고대 활자의 전통에 관련에 우리의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방문객들은 패션부분 부터 쇼의 일부에서 (한국 그래픽 디자인, 뭐지? 하는) 낮은 기대감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은 놀라움에 빠질 것이다. 전시된 작품의 아름다움은 당황스러울 정도이다

직접 보면, 당신이 한국 디자인에 대해 알고 있다는 생각을 버리게 된다. 문화적 재부팅 이라 생각하고 참관해 보라.

 

이들은 누구인가?

15년 전, 예일, SVA, 아트센터, 게릿리트벨트 아카데미, 혹은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예술 대학교에서 자신들의 MFAs를 위해 값비싼 수업료를 지불했던 한국 학생들이 나이가 들었다

그들은 한국으로 돌아가 그들의 현대적인 것과 매끄럽게 뒤섞였다

신기하게도, 그들이 서양에서 경험하며 배운 것들은 해야 되는 것이 아니고 하지 말아야 할 것처럼 보인다. 이들 작업이 당황스러운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래픽 문화를 참고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영향을 받았다는 명백한 자료도 없고, 팝 아트에 대한 암시도, 시각적 참고임을 확인할 자료도 없다. 매우 그들 자신만의 것이다.

 

한글, 한국의 문자

알려졌듯이 한국 그래픽 디자인의 독창성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그 뿌리는 활자의 과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최초의 대량으로 책을 찍어낸 독일의 마인츠에 살던 구텐베르크와 동시에 약 6,000마일이나 떨어진 곳 서울에서 세종대왕은 한글 창조를 관장하고 있었다

28개 음성 문자는 언어로 사용하던 4만 한자를 대체하기 위해 디자인 되었다. 단순화된 글쓰기 체계로서, 누구나 몇 시간 만에 배울 수 있다

문맹을 근절시키기 위한 도구로써의 한글은 현재 남·북한의 공식문자이다. 

최근, 한글은 전통적인 글꼴에서 모양을 끌어내어 디지털 화에 적합한 형태로 디자인한 그래픽 디자이너 안상수로 인하여 창의적인 부활을 경험했다.

한국에서 얀 치홀트와 에밀 루더의 책을 번역한 안상수는 모더니스트라고 주장하진 않지만 항상 우아한 그의 작품은 최소의 요소를 통해 효과를 내는 침착함으로 구성의 규칙을 초월한다.

 

한지, 한국 종이

상징적 인물인 안상수는 가장 왕성하게 실험적 작품을 하는 사람들 중의 한명인 박금준 같은 독립된 그래픽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장식미술 박물관 큐레이터에 의해 선발된 대부분의 디자이너들처럼, 박금준은 주로 인쇄 매체 작업을 하며, 대부분의 디자이너들처럼 그는 이미지나 텍스트가 주는 메시지만큼이나 사용하는 종이의 질을 따진다

전통적인 수제기술로 만든 한지의 매력은 또 다른 한국의 독특함이다

토속 나무의 내부 껍질로 만들어진 합지된 종이는 다양한 결을 가지고 있어 아무리 정확한 원본 작업이라도 인쇄에 항상 예기치 않은 결과를 만들어낸다.

 

감각적인 디자인

박금준에 의해 디자인 되었던 골판지로 쌓여진 변형된(하이브리드) 서적에는 부드럽지만 파삭거리는 반투명 종이가 사용되어 페이지를 넘길 때 바스락거리는 소리를 낸다.

다음 전시실은 슬기와 민의 포스터들로 형광 잉크가 두툼하고 칙칙하게 물결로 도포되어 작품의 일부를 불투명하게 표현한 극적인 고광택의 사진들이 있다.

그 다음으로, 가벼운 종이에 스크린 작업을 한 헤이 조의 작품은 얇고 약한 무명천에 검은 벨벳 자수처럼 보이는 포스터 작업이다

전시실 끝에는 김보휘가 디지털 프린트한 그린&레드 구성 작품으로 색상이 매우 강렬하여 지구 온난화를 반대하는 포스터의 메시지에 알맞게 열을 방출하는 듯하다.

 

이 전시는 감각적인 축제로 우리의 눈보다 더 많은 것을 우리가 본 것들로부터 얻을 수 있음을 상기 시킨다

한국 디자이너들은 시각을 통해서 인쇄물이 다른 감각기관도 자극한다고 믿는다.— 신경학 현상으로 공감각이라 불린다.

파리 시민들은 이런 접근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식 전달자들의 접근법은 프루스트의 마들렌의 그래픽적 등가물이다.

 

출처 :  Design Observer (2003-, 뉴욕 디자인 매거진)

기고가 : 베로니크 비엔느

번역 : 이정혜

관련링크 : http://designobserver.com/article.php?id=39083